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7월 23일, 미국의 인공지능(AI) 기술 글로벌 리더십을 공고히 하기 위한 90개 이상의 연방 정책 행동을 담은 'AI 행동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 계획은 ▲혁신 가속화 ▲미국 AI 인프라 구축 ▲국제 외교 및 안보 리더십 등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백악관 AI 책임자인 데이비드 삭스 등은 "글로벌 AI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은 미국의 경제 및 국가 안보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협상 불가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계획의 핵심 중 하나는 규제 장벽 완화다. 행정부는 이미 AI 칩 수출 제한을 철회했으며, 최근 엔비디아가 중국에 H20 AI 칩 판매를 재개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 결정은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한 뒤 내려졌으며, 엔비디아는 제한 기간 동안 수십억 달러의 잠재적 매출 손실을 입었다고 추산했다.
또한, 연방 정부가 도입하는 대형 언어 모델(LLM)은 "상위 이념적 편향에서 벗어나 객관적이어야 한다"고 권고해, AI 시스템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행정부의 우려를 반영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센터 및 반도체 공장 허가 절차 신속화, AI 인프라 지원을 위한 국가 전력망 업그레이드도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행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전자 프라이버시 정보센터, 미국 작가조합 동부지부, AI 나우 연구소 등으로 구성된 연합체는 산업계 이익보다 AI 안전을 우선시하는 '국민 행동 계획'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들은 행정부의 접근법이 기술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해 일자리 상실, 프라이버시 침해, 알고리즘 피해 등 주요 문제를 소홀히 한다고 주장했다.
백악관은 이번 계획에 포함된 모든 정책이 향후 6~12개월 내 실행 가능하다고 밝혔으며, 이는 규제 장벽을 낮추고 미국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는 행정부의 광범위한 전략과 궤를 같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