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미국의 칩 금지에도 불구하고 중국 사막 데이터센터, AI 경쟁에 불을 지피다

중국이 신장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며 AI 야망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설들은 11만 5천 개의 제한된 엔비디아 칩을 도입할 계획이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2025년 6월까지 7개의 프로젝트가 AI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착공되거나 입찰에 성공했으며, 한 운영사는 이미 DeepSeek의 R1 모델에 대한 클라우드 접근을 지원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기술 자립을 강조하는 가운데, 이 데이터센터들은 중국의 컴퓨팅 역량을 크게 강화할 전망이지만, 미국 워싱턴에서는 군사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의 칩 금지에도 불구하고 중국 사막 데이터센터, AI 경쟁에 불을 지피다

중국 신장의 외딴 사막에서 중국은 AI 미래의 토대를 구축하고 있다. 블룸버그가 투자 승인, 입찰 문서, 기업 공시를 분석한 결과, 중국 기업들은 서부 지역의 수십 개 데이터센터에 11만 5천 개 이상의 금지된 엔비디아 AI 칩을 도입할 계획인 것으로 드러났다.

2025년 6월 기준, 이러한 프로세서를 겨냥한 신장 내 7개 프로젝트가 이미 착공되었거나 AI 컴퓨팅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개 입찰에 성공했다. 이 중 가장 대규모인 프로젝트는 주로 재생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톈진 소재 에너지 기업 Nyocor Co.가 지배하는 회사가 주도하며, 제한된 엔비디아 모델 중 하나인 H100 서버 625대를 도입해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러한 시설들은 시진핑 주석이 기술 자립을 강조하는 가운데 중국의 컴퓨팅 역량을 크게 강화할 전망이다. 2025년 4월 열린 정치국 AI 회의에서 시 주석은 '자주적 통제가 가능한'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한 투자자는 2025~2026년 이우현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50억 위안(약 7억 달러) 이상을 투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인프라는 DeepSeek 등 첨단 AI 모델을 지원할 예정이다. DeepSeek의 R1 모델은 2025년 1월, 서구 경쟁 모델과 맞먹거나 능가하면서도 훨씬 적은 컴퓨팅 파워와 개발 비용으로 글로벌 시장을 놀라게 했다. 신장의 한 운영사는 이미 첨단 하드웨어를 활용해 DeepSeek R1 모델의 클라우드 접근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야망에는 큰 장애물이 존재한다. 미국은 2022년, 첨단 AI가 베이징에 군사적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 대중국 판매를 제한했다. 미국 당국은 현재 중국 내에 약 2만 5천 개의 제한된 엔비디아 프로세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는 계획된 프로젝트에 필요한 수량에 훨씬 못 미친다. 중국 측 문서에는 이 칩들을 어떻게 확보할지에 대한 설명이 없으며,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는 합법적으로 구매할 수 없다.

이 데이터센터 단지는 미국의 AI 인프라에 비하면 아직 미미하지만,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앞서가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들은 양국이 AI 개발을 미래 경제 및 전략의 핵심으로 삼으면서 기술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Source: Bloomberg

Lates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