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중국, 미국 견제 위한 글로벌 AI 협력 계획 발표

중국은 2025년 7월 26일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회의에서 포괄적인 글로벌 인공지능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리창 총리는 기술 개발과 규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강조하며 글로벌 AI 협력기구 설립을 제안했다. 이번 전략적 조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AI 행동 계획을 공개한 지 며칠 만에 이뤄져, 세계 양대 경제 대국 간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미국 견제 위한 글로벌 AI 협력 계획 발표

중국은 2025년 7월 26일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회의(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 WAIC)에서 글로벌 인공지능 행동 계획을 발표하며 포용적 AI 발전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했다.

리창 총리가 공개한 이번 계획은 AI 기술 개발과 규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촉구하며, 중국은 글로벌 AI 협력기구 설립을 제안했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해당 기구의 본부를 상하이에 두는 방안을 잠정적으로 검토 중이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산업 전반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AI 플러스(AI+)' 전략을 강조하며, 특히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국가들의 AI 역량 개발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디지털 및 지능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리창 총리는 회의 기조연설에서 "중국은 글로벌 AI 거버넌스를 매우 중시하며, 다자 및 양자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더 많은 중국식 해법을 제시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3일간의 행사에는 30개국에서 1,200명 이상의 업계 리더, 정부 관계자, 연구자, 투자자들이 참석했다.

중국의 이번 발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 23일 미국의 AI 행동 계획을 공개한 직후 이뤄져 그 시점이 주목된다. 미국의 계획은 '혁신 가속화', '미국 AI 인프라 구축', '국제 외교 및 안보 선도'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90개 이상의 연방 정책 행동을 제시하며, 규제 완화와 데이터센터 에너지 공급 확대를 통해 미국의 AI 주도권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이 자국 중심의 리더십과 기술 우위를 강조하는 반면, 중국은 다자 협력과 포용적 발전을 내세우고 있다. 이번 상하이 회의에 참석한 전 구글 CEO 에릭 슈미트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경제 주체인 미국과 중국은 이 문제에 대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urce: Cnbc

Lates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