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업계가 현실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리서치 기관 가트너는 기술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혁신 중 하나인 에이전틱 AI의 실패율이 상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트너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7년 말까지 에이전틱 인공지능 프로젝트의 40% 이상이 비용 증가와 불분명한 비즈니스 가치로 인해 취소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흡한 리스크 관리 역시 이러한 프로젝트 취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세일즈포스와 오라클 등 글로벌 IT 대기업들은 자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고 행동하는 AI 에이전트 시스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며, 수익성 향상과 비용 최적화를 기대하고 있다. 세일즈포스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자율 에이전트를 활용한 첨단 AI 역량을 개발 중이며, 전 세계 자율 AI 및 AI 에이전트 시장은 2028년까지 28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가트너는 많은 벤더들이 실제 에이전틱 역량 없이 AI 어시스턴트나 챗봇 등을 단순히 '에이전트'로 포장하는 '에이전트 워싱(agent washing)'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수천 개의 에이전틱 AI 벤더 중 약 130곳만이 진정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추산된다. 가트너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프로젝트는 초기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전략적 계획보다는 과장된 기대에 의해 추진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상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가트너의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인 아누슈리 베르마는 "현재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프로젝트는 초기 실험이나 개념 검증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과장된 기대에 의해 잘못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베르마는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제안은 실질적인 가치나 투자 수익률(ROI)이 부족하다. 현재의 모델은 복잡한 비즈니스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세밀한 지시를 따를 만큼 성숙하지도, 충분한 자율성을 갖추지도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기업들은 대규모 AI 에이전트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비용과 복잡성을 간과하게 되고, 프로젝트가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025년 1월 가트너가 3,412명의 웨비나 참석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9%의 조직만이 에이전틱 AI에 상당한 투자를 했으며, 42%는 보수적으로 투자했고, 8%는 전혀 투자하지 않았으며, 31%는 투자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거나 불확실하다고 답했다.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가트너는 2028년까지 일상 업무 의사결정의 최소 15%가 에이전틱 AI를 통해 자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2024년 0%에서 증가). 또한, 2028년까지 전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의 33%에 에이전틱 AI가 포함될 것으로 내다봤다(2024년 1% 미만에서 증가). 가트너는 에이전틱 AI가 명확한 가치나 측정 가능한 ROI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도입할 것을 권고했다. 기존 시스템에 AI 에이전트를 통합하면 업무 프로세스가 혼란을 겪고, 비용이 많이 드는 변화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업무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재설계하는 것이 더 나은 전략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