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MIT의 AI 로봇, 혁신적 반도체 분석으로 태양광 기술 발전 가속화

MIT 연구진이 반도체 소재의 광전도 특성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자율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AI 기반 시스템은 시간당 125건 이상의 정밀 측정을 수행하며, 성능이 뛰어난 영역과 조기 열화 징후를 식별해 보다 효율적인 태양광 기술 개발을 앞당길 전망이다. 이번 혁신은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을 지연시켜온 소재 탐색의 핵심 병목현상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MIT의 AI 로봇, 혁신적 반도체 분석으로 태양광 기술 발전 가속화

MIT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광 패널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AI 기반 로봇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 완전 자율 시스템은 7월 4일자 Science Advances에 상세히 소개됐으며, 빛에 대한 소재의 반응을 결정짓는 핵심 전기적 특성인 광전도(Photoconductance)를 전례 없는 속도와 정밀도로 측정한다. 24시간 테스트 기간 동안 이 시스템은 3,000건이 넘는 고유 측정을 수행했으며, 시간당 125건 이상의 측정 속도를 기록했다.

연구의 시니어 저자인 토니오 부오나시시(Tonio Buonassisi) 교수는 “모든 중요한 소재 특성을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샘플에 접촉이 필요하다면, 빠르게 측정하고 최대한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혁신은 세 가지 핵심 기술을 결합했다. 반도체 샘플에 직접 접촉하는 로봇 프로브, 최적의 측정 지점을 식별하는 자가 지도 신경망, 그리고 접촉 지점 간 최적 경로를 계산하는 특화된 경로 계획 알고리즘이다. 연구진은 AI 시스템에 소재 과학의 전문 지식을 주입함으로써, 샘플을 어디에서 어떻게 테스트할지 전문가 수준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돌파구는 소재 탐색의 근본적인 병목을 해결한다. 연구자들은 새로운 반도체 후보를 빠르게 합성할 수 있지만, 그 특성 측정은 여전히 느리고 노동집약적이었다. MIT 시스템은 이 과정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해, 태양전지 및 기타 응용 분야에 유망한 소재를 더 빠르게 선별할 수 있게 한다.

정밀 측정 결과, 기존 테스트에서는 놓치기 쉬운 성능 우수 영역과 조기 열화 징후가 드러났다. 제1저자인 알렉산더 시멘(Alexander Siemenn)은 “이처럼 풍부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인간의 개입 없이 수집할 수 있게 되면서, 고성능 신소재 반도체의 발견과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에너지부, 국립과학재단, First Solar 등 여러 기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MIT가 추구하는 완전 자율 소재 탐색 연구소 비전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연구팀은 합성, 이미징, 측정을 통합한 완전 자동화 실험실로 시스템을 확장해, 청정에너지 신소재의 탐색 및 개발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ource: Mit

Lates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