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메타의 148억 달러 AI 베팅: 절박함인가, 전략적 천재성인가?

메타가 데이터 라벨링 기업 스케일 AI에 148억 달러를 투자하며 49% 지분을 확보하고, CEO 알렉산더 왕을 메타의 신규 '슈퍼인텔리전스' 유닛의 수장으로 영입했다. 이 전례 없는 행보는 오픈AI와 구글 등 경쟁사에 뒤처진 메타가 AI 경쟁에서 격차를 좁히려는 시도로, 최근 공개된 Llama 4 모델의 미지근한 반응에 마크 저커버그가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투자가 전략적 전환점인지, 아니면 급격히 팽창하는 AI 시장의 포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것인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메타의 148억 달러 AI 베팅: 절박함인가, 전략적 천재성인가?

기술 업계를 뒤흔든 대담한 행보로, 메타 플랫폼스가 데이터 라벨링 스타트업 스케일 AI에 148억 달러를 투자하며 기업 가치를 약 290억 달러로 평가했다.

2025년 6월 13일 발표된 이번 거래로 메타는 스케일 AI의 49% 지분을 확보했으며, 28세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알렉산더 왕을 메타의 신규 '슈퍼인텔리전스' 유닛의 수장으로 영입했다. 이는 메타가 외부 AI 기업에 단행한 최대 규모의 투자로, 저커버그가 업계 선두와의 격차를 좁히려는 의지를 드러낸다.

현직 및 전직 메타 직원들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오픈AI 등 경쟁사가 메타보다 기본 AI 모델과 소비자용 앱에서 더 앞서 있다고 느끼며 점점 더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4월에 공개된 메타의 Llama 4 AI 모델은 개발자들로부터 미지근한 반응을 얻었으며, 경쟁사 대비 성능 우려로 인해 예고됐던 대형 'Behemoth' 모델은 아직 출시되지 못하고 있다.

스케일 AI는 생성형 AI 붐의 핵심 기업으로,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빅테크에 머신러닝 모델 학습용 데이터 라벨링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메타 역시 스케일 AI의 주요 고객 중 하나였으며, 2024년 10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F 투자 라운드에도 참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거래 발표 이후 오픈AI와 구글이 스케일과의 협업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며, AI 생태계에 이미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이는 AI 시장이 점점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주요 빅테크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의 대규모 투자를 잠재적 경고 신호로 해석한다. 테크 매체 퓨처리즘은 "이처럼 대규모이자 구조적으로 복잡한 인수는 보통 핵심 전략의 근본적 문제를 시사하며, AI 산업이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스케일 AI의 기업 가치가 1년 만에 138억 달러에서 290억 달러로 급등한 것은 실질적 가치 창출보다는 버블 현상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메타의 이번 투자가 전략적 묘수인지, 아니면 AI 경쟁에서 뒤처진 절박한 시도인지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 분명한 것은 AI 개발 경쟁의 판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2025년 한 해에만 빅테크들이 AI 관련 자본 지출에 2,500억 달러 이상을 쏟아부을 계획이라는 점이다.

Source:

Lates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