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close

테슬라, 인도 시장 진출…프리미엄 AI 기반 전기차로 도전장

테슬라가 오랜 지연 끝에 인도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첫 모델로 모델 Y 전기 SUV를 출시하며,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높은 수입 관세로 인해 차량 가격은 약 7만 달러에 책정되어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됐다. 초기에는 제한적인 AI 기능만 제공되지만, 테슬라는 인도를 전략적 성장 시장으로 보고 장기적인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테슬라, 인도 시장 진출…프리미엄 AI 기반 전기차로 도전장

테슬라가 마침내 오랜 기다림 끝에 인도 시장에 진출했다. 2025년 7월 15일 뭄바이에 첫 번째 쇼룸을 열었으며, 이달 말에는 뉴델리에도 두 번째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이번 출시는 2016년 일론 머스크 CEO가 인도 진출 가능성을 처음 언급한 지 9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올해 초 머스크와 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기술 협력 논의 이후 본격화됐다.

테슬라는 베스트셀러 모델 Y를 후륜구동(₹5,989만, 약 6만8천 달러)과 롱레인지(₹6,789만, 약 7만9천 달러) 두 가지 버전으로 선보인다. 이 가격은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금액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데, 이는 완성차 수입 시 약 100%에 달하는 인도의 높은 관세 때문이다.

테슬라는 풀 셀프 드라이빙(FSD) 기능을 ₹60만(약 7천 달러)에 추가 옵션으로 제공하지만, 첨단 오토파일럿 및 FSD 기능은 아직 인도에서 활성화할 수 없다. 소식통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4년간 인도의 복잡한 도로 환경에 맞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왔으나, 현재로서는 차선 이탈 방지 등 기본적인 운전자 보조 기능만 제공된다.

이처럼 높은 가격 정책으로 테슬라는 타타모터스 등 현지 전기차 업체가 아닌 BMW 등 프리미엄 수입차 브랜드와 직접 경쟁하게 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뭄바이 쇼룸 오픈을 '전략적 소프트 파워' 행보로 평가하며, 본격적인 현지 생산은 2028~2030년 사이에나 검토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번 인도 진출은 테슬라에게도 쉽지 않은 시점에 이뤄졌다. 테슬라는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감소를 겪고 있으며, 2분기 글로벌 인도량은 전년 대비 6.8% 감소했다. 최근 머스크는 테슬라를 단순 자동차 제조사가 아닌 AI 및 로보틱스 기업으로 재정의하며,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으로, 테슬라에게 중요한 성장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인도 내 전기차 비중은 전체 차량 판매의 4%에 불과하지만, 정부는 2030년까지 이를 3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테슬라가 향후 현지 생산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성장하는 인도 중산층을 겨냥한다면 인도의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ource:

Latest News